금리와 채권 개요
금리는 돈을 빌려주거나 빌릴 때 붙는 자금 사용료를 말한다. 채권은 이러한 금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금융상품으로, 미래에 원리금을 지급하겠다는 약속을 담고 있다.
금리 기본 개념
- 명목금리: 시장에서 보이는 금리 (예: 연 5%)
- 실질금리: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값
- 실질금리가 높을수록 돈의 구매력이 커진다
금리와 채권의 관계
- 금리가 오르면 기존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
- 금리가 내리면 기존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
- 금리와 채권 가격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
채권의 구조
- 액면가: 발행 시 정해진 금액 (보통 1,000원 단위)
- 쿠폰금리: 매년 지급되는 이자율
- 만기: 원금을 돌려주는 시점
- 예: 액면가 1,000원, 쿠폰 5%, 만기 3년 → 매년 50원 이자, 3년 뒤 원금 1,000원 상환
채권의 민감도
- 듀레이션(Duration): 금리 변동에 따른 채권 가격 변동 정도
- 듀레이션 5년 → 금리 1% 상승 시 가격 약 5% 하락
- 컨벡서티(Convexity): 금리 변동에 따른 가격 변화를 보정
수익률 곡선
- 단기 금리와 장기 금리를 연결한 곡선
- 정상적일 때는 우상향 형태
- 경기 침체 예상 시 단기 금리가 장기 금리보다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
내가 보는 채권
- 시장리스크: 금리 변동이 채권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
- 신용리스크: 발행기관의 신용등급 하락, 부도 위험 평가
- 유동성리스크: 거래가 원활하지 않아 원하는 가격에 팔기 어려운 위험
- 운영리스크: 내부 시스템이나 모델 오류 발생 가능성
- 리스크 분석가는 채권을 단순히 안전자산으로 보지 않고, 수치화해 관리하는 대상이라고 본다
'개인 활동(공부) > 금융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인플레이션 (1) | 2025.09.25 |
|---|---|
| 환율 (2) | 2025.09.05 |
| 퀸트 분석에 사용하는 패키지 정리 (3) | 2025.09.02 |
| 퀀트 투자 기초 수학·통계 (3) | 2025.09.01 |
| 리스크 관리 및 퀀트 투자 (2) | 2025.08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