퀀트 투자
- 주관적 감(감정/뉴스 해석) 보다는 데이터 기반의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투자하는 것
퀀트 투자 방법론
- 가설설정
- 데이터 수집 및 정제
- 백테스트
- 과거 데이터에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성과를 확인하는 절차
- 운용
- 리스크 관리
장단점
체계적이며 현이 가능하다.
감정을 배제하여 일관성을 가진다.
다종목 / 즉, 분산투자가 가능하다.
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더 많은 정보를 이용해서 투자를 진행한다.
모델 과적합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.
데이터와 거래비용을 무시하면 실제 수익률이 하락한다.
내부 알고리즘을 정확하게 이해/설명 할 수 없다. [ 블랙박스화 ]
투자 전략 유형
1. 팩터 투자 ( Factor Inversting )
- 특정 요인으로 초과수익 추구
- 예시
- 가치(Value) : 저PER, 저PBR 종목 매수
- 주가수익비율(Price to Earnings Ratio), 주가순자산비율( Price to Book-value Ratio)
- 모멘텀(Momentum): 최근 6~12개월 수익률 높은 종목 추종
- 퀄리티(Quality): 높은 ROE, 낮은 부채비율 종목
- 저변동성(Low Volatility): 변동성 낮은 종목 위주
- 가치(Value) : 저PER, 저PBR 종목 매수
2. 알고리즘·규칙 기반 전략
- 이동평균선 교차(MA Cross), RSI, MACD 같은 기술적 지표 활용.
- 일정 규칙에 따라 자동 매수/매도.
3. 통계적 차익거래 (Statistical Arbitrage)
- 쌍둥이 종목(Pairs Trading): 상관관계 높은 종목 간 가격 괴리 발생 시 매수·매도.
4. 머신러닝 기반 퀀트
- 랜덤포레스트, XGBoost, 신경망 등을 활용해 가격/리스크 예측.
- 최근에는 LLM+퀀트도 연구 중.
'개인 활동(공부) > 금융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퀀트 투자 기초 수학·통계 (3) | 2025.09.01 |
|---|---|
| 리스크 관리 및 퀀트 투자 (2) | 2025.08.29 |
| 금융거래의 규제와 보호 장치 (2) | 2025.08.28 |
| 은행의 기능와 업무 (8) | 2025.08.27 |
| 금융기관의 종류 (4) | 2025.08.26 |